티스토리 뷰


사용자 리서치 계획하기

리서치의 목적과 목표고객, 내용, 범위, 방법, 일 정 등을 포함한 국내외 리서치 실행계획을 수립할수 있다.
조사 목적과 얻고자 하는 자료의 특성 및 가용시간과 예산에 따라 자체 수행 또는 아웃소싱을 국내외 시장을 대상으로 선정할 수 있다.
선정된 국내외 목표 시장 내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리서치 내용을 설계하고 리서치 수행을 위한 가이드를 작성할 수 있다.

UX 리서치의 필요성

  • 사용자를 이해하지 못하면 이용형태를 파악하기 힘들다.
  • 리서치 없이 디자인을 하게 되면 사용자들의 맥락을 무시한게 됩니다.
  • 특정 상황에서 필요한 기능이나 정보를 디자이너의 판단으로 결정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데이터는 모든 것을 말해주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의 경험이 필요하다.
  • 내가 생각하는 문제는 사용자가 생각하는 문제와 다를 경우가 많습니다.
  • 처음에 내렸던 가정이 리서치를 통해 다른 경우도 있습니다.
  • 리서치는 하나의 행위나 말에 주목하기 보다는 전체적인 맥락(Context)에서 그 사람이 왜 그렇게 움직였는지, 그렇게 말했는지를 알게 해줍니다.
  • 경험많은 리서치 진행자는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자들의 숨겨진 니즈를 도출해 낼 수 있습니다.

정성적 리서치와 정량적 리서치

  • 정성적 리서치(Qualitative)
    • Interviews
    • Contextual
    • Diary Studies
    • Card Sorting
    • 정성적 리서치는 사용자가 진짜 원하는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근거를 만들기 위한 도구

  • 정량적 리서치(Quantitative)
    • Surveys
    • Eyes Tracking
    • Data Analysis
    • A/B Testing
    • 정량적 리서치는 전반적인 상황이나, 수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해관계자 설등하기 위한 도구


'UI.UX 엔지니어링 > 사용자 리서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준비과정  (0) 2019.01.09
친화도법(Affinity Diagramming)  (0) 2018.12.28
이해관계자 인터뷰 (Stakeholder Interview)  (0) 2018.12.27
댓글
© 2018 eh2wor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