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접근성의 이해 1. 웹 접근성 평가 도구 소개 및 설치 방법 웹 사이트 접근성 준수 여부 평가 -> 수정 -> 페이지 자동 수집 방식(크롤링)>K-Wah>웹 페이지/li> 웹 접근성 연구서 사이즈 접속> 자동평가 도구 메뉴 클릭> 4.0 프로그램 내려받은후 다운 받기> 다운받기 완료 평가 도구는 HTML 코드를 분석하여 기계적으로 도구에 의한 자동평가와 사람에 의한 수동평가가 병행되어야 함 웹 접근성에 관한 정밀한 평가를 위해서는 도구에 의한 자동평가와 사람에 의한 수동평가가 병행되어야 함 평가도구의 종류로는 K-WAH, OpenWAX CCA, WAT, 웹 브라우저 개발자 도구 등이 있음 K-WAH 점검 항목으로는 대체텍스트 제공 유무, 제목 제공 유무, 기본언어 명시, 사용자 따른 새창 열기, 레이..
1. 웹 접근성의 올바른 발전 방향 웹 접근성은 잠시의 유행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전 세계적인 흐름이지 반드시 필요한 영역 웹 접근성이 마크업 영역에 머무르지 않고, 신기술과 새로운 영역까지 발전 웹 접근성이 신기술을 규제하는 것이 아니라 연구를 통한 접근성이 가능 2. 새로운 기술의 방향 HTML5와 ARIA 등 새로운 기술은 웹 접근성을 향상하는 방향으로 발전 화면 낭독기 중심으로 적용하는 접근성 구현 방식이 프로그래밍을 통해 해결 접근성은 UX와 함께 연계하여 발전할 때 공감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전환 3. 모바일 접근성 국내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지침은 7개의 준수항목과 8개의 권고항목으로 구성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지침의 업데이트가 필요하며,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0과 ..
1. 마크업 오류 방지 웹페이지의 기본이 되는 HTML 이나 XHTML과 같은 마크업 언어에서 정한 문법에 맞지 않게 구현한 경우 발생되는것 마크업 언어의 문법 오류 방지 문제없이 해석으로 견고성을 중시해야 함 태그를 열었다면 반드시 닫아주어서 오류를 방지함 태그를 중첩되도록 제공하지 않음 태그의 중복 속성의 중복으로 기능의 오류를 일으키지 않음 열고 닫음, 중첩오류, 속성 중복에 대한 주요 오류 메시지 eng tag for duplicate specification of attribute already defined 2. 웹 애프리케이션 접근성 플래시, 실버라이트, 자바 애플릿 등 웹 애플리케이션에 대해서 자체 접근성이 필요 자체 접근성 :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1의 1~23번 항목 준수 ..
이해의 용이성(2) 1. 콘텐츠 선형구조 제목과 내용이 연속되어 있는 구조인 경우, 제목에 해당하는 내용임을 인식 할 수 있도록 순서대로 구성 구조 : 제목 + 내용 반드시 제목과 내용 순이 아니라, 직관적으로 내용을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되어 콘텐츠를 선형화하였을 때 이해가 용이하도록 제공 웹 문서를 제작할 때 뼈대가 되는 HTML 마크업 언어 논리적인 순서에 맞게 개발 > CSS적용 가상 커서 방식 (좌>우,위>아래) ul, li의 활용 -> 콘텐츠를 마크업하여 제공 일반 원도운 커서와 가상 커서의 순서를 맞춰주는 것과 같음 2. 표의 구성 데이터 테이블과 레이아웃용 테이블 데이터 레이블 : 제목, 요약과 함께 제목 셀, 내용 셀을 구분 레이아웃용 테이블 : 표의 제목, 요약 및 제목 셀과 내용..
이해의 용이성(1) 1. 기본 언어 표시 기본 언어 표시는 주로 사용하는 언어여야 함 웹 페이지에서 주로 사용하는 언어를 에 lang속성을 사용하여 제공한 경우 준수한 것으로 인정 호환성을 높여주기 위함(위치는 문제되지 않음) 공식 언어 코드를(ISO 639)를 사용해야 함 기본 언어 표시를 위해 반드시 함께 생각해야하는것이 DTD(Document Type Definition)이라고 불리우는 문서타입 선언 2. 사용자 요구에 따른 실행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기능(새 창, 초점 변화 등) 실행되지 않아야 함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기능이 자동 실행 되지 않도록 제공한 경우 준수한 것으로 인정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새 창이나 초점 변화가 발생 할 경우 사전에 내요을 알려줘야 함
운용의 용이성(2) 2. 반복 영역 건너뛰기 초당 3~50회 깜박이거나 번쩍거림이 반복되는 콘텐츠를 제공하면 안됨 깜박임이 3초 이하인 경우 문제가 되지 않음 어린이 또는 광과민성 발작 증세가 있는 사용자를 위함 2. 반복 영역 건너뛰기 특별한 경우가 없다면 요소 다음으로 제공해야 함 3개 이하의 반복영역은 건너뛰기 링크를 제공해야함 3. 제목 제공 페이지 제목이 콘텐츠의 내용을 나타내야 함 콘텐츠 구분은 요소를 활용하여 제공해야 하며 에 대한 목적을 title로 제공해야함 각각 해당 콘텐츠가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지 미리 짐작할 수 있게 하기위해 적절한 제목을 제공해야 함 제목의 내용이 없다고 하더라도 '내용 없음'과 같이 제목을 만들어야줘야함 장애인 사용자 가장 먼저 이해할수 있도록 중요 주제를 나타..
운용의 용이성(1) /p> 1. 키보드 사용보장 '키보드 사용 보장'의 개념 : 모든 기능은 키보드만으로도 사용할 수 있어야함 '키보드 사용 보장'의 필요성 - 마우스를 이용하기 어려운 사용자의 어려움 해소 '키보드 사용 보장'의 검사항목 해설 - 마우스로 이요 가능한 기능 키보드로도 이용할 수 있도록 구현 '키보드 사용 보장'의 제공 방법 - 모든 기능을 키보드로 접근, 사용 가능하도록 제공 2. 초점 이동 '초점 이동'의 개념 : 키보드에 의한 초심이 논리적으로 이동해야 하며 시각적으로 구별할 수 있어야 함 '초점 이동'의 필요성 - 키보드로만 웹 사이트를 이용하는 사용자 어려움 해소 '초점 이동'의 검사항목 해설 - 초점을 받았을 때 시각적으로 구분, 사용자가 현재 키보드 위치를 이해할 수 있도록 ..
인식의 용이성(2) 1. 색에 무관한 콘텐츠 인식 그래프이 경우 색이 아닌 패턴 또는 인출선등을 이용하여 알려줌 필수입력 항목을 색으로만 표현하지 않고, 블릿이나 텍스트의 형태를 구분하여 제공함 시력이 약한 사용자에게 색상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구분 제공 그래프, 차트 도식 유형에 적용하던 검사항목 , 페이지 네비게이션 -색상만 구분 -> 정보인식 2. 명확한 지시사항 제공 '여기를 클릭하세요', '검정색을 클릭하세요' 등 모양, 색 방향 등으로만 구분지면 안되며, 다양한 감각을 통해 목적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함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CCTV같은 영상은 제공하지 않음 특정감각에만 의존하지 않고 다른감각을 통해서도 지시사항을 인식할수 있도록 해야함 우회적인 방법 링크 텍스트가 아닌 대체 테스트로 제공하는..